생식을 만드는 법은 동결건조라는 방식을 활용해서 영하 40도 이하 급속냉동으로 식품의 수분을 제거 후 건조 하는 방식인으로 원래 형태로 보존되고 열을 가하지 않아 영양성분과 효소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내용 사진 출처 MBN 엄지의 제왕 >
또한 먹을 때도 열을 가하지 않고 쉽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수분이 공급되면 원래상태로 복원됩니다.
동결건조식품에 물을 부어 보면 딱딱했던 동결건조 식품들이 살아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미숫가루와 생식의 차이점
생식은 영양소 파괴 없이 그대로 분쇄된 방식이고 미숫가루나 곡물가루는 열에 볶아서 분쇄하여 열에 가해지면서 식품 속 영양소와 효소가 대부분 파과가 되어 신진대사 활성화가 낮아지고
대장균의 먹이인 식이섬유가 부족으로 변비가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생식은 각종 영양분과 대장건강에 꼭 필요한 식이섬유 섭취에 용이할 수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장 건강에 중요한 이유는?
식이섬유는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 내 환경을 개선하고 체내 독소를 흡착해 체외 배출을 유도해 가장 중요한 영양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루에 필요한 식이섬유 섭취량?
장 건강에 도움이 되는 식이섬유 하루섭취 권장량은 약 20~25g인데 식이섬유가 많다는 케일과 블루베리로 환산하면 케일은 125장이고 블루베리로는 556알로 음식으로 채우기에는 불가능해 생식은 권장량을 효율적로 식이섬유 섭취가 가능합니다.
74가지 음식을 섭취 할수 있는 생식
74가지 생식의 섭취 방법은? 물 150mL + 생식 30g을 편하게 물통(텀블러)에 타서 흔들어 먹으면 됩니다.
생식이 장 건강에 대장 염증 억제에 도움이 됩니다.
실제 연구결과로 첫 번째 사진은 정상 쥐의 대장 단면이고 동그랗게 표시한 부위가 융모인데 장에서 영양소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 고지방식과 염증을 유도한 쥐의 대장 단면인데 대장벽이 두꺼워져 있고 융모 조직이 파괴되었습니다.
세 번째는 고지방식이를 하고 대장에 염증이 있는 쥐에게 8주 동안 사료의 70%를 생식을 섭취하게 하였더니 융모가 튼튼하게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생식은 대장암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실제로 대장암을 유도한 쥐에게 11주간 70% 생식이 함유된 사료를 섭취하게 했더니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은 이상 점막 선와가 발생이 감소했음을 확인했습니다.
생식은 면역력 증진에도 도움이 됩니다.
장은 우리 몸의 최대 면역 기관인 만큼 어떻게 지키는가에 따라서 면역력이 좌우가 되는데 생식 섭취로 장 건강이 개선이 되면 면역 시스템이 강화가 되기 때문에 암을 유발하는 염증을 없애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대장암을 앓고 있는 쥐에게 8주간 생식을 섭취하게 했더니 면역력이 강화되어서 염증도 없어지고 손상된 대장 세포 회복에도 도움이 되었고 생식을 먹지 않는 쥐는 손상된 대장 세포가 괴사 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장 건강이 안 좋으면 유해균이 증가하며 복부지방이 쌓이고 특히 중년 여성들은 완경 이후에 호르몬감소로 뱃살이 증가하는데 문제는 뱃살이 증가할수록 대장암 위험이 높아집니다.
허리둘레가 10cm 증가할 때마다 대장암 발병률이 16%가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생식은 체지방 감소에도 도움이 됩니다.
생식에는 식이섬유가 풍부해 장내 단쇄지방산 (길이가 짧아 지방이 축적되지 않음)을 만들어 내는데 체지방이 쌓이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됩니다.
실제 과체중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8주간 생식 식이 요법을 진행했더니 체중은 4.59%가 감소 체지방 지수는 4.56%감소 체지방률은 6.18% 체지방은 무려 10.19% 감소했다고 합니다.
생식 섭취 시 주의사항
생식의 원료가 국내산 원료인지 확인해야 하고 단백질 식이섬우 아연 같은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착색료, 향료 각종 첨가물이 함유되어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식품안전관리인 HACCP 인증 기준 시설에서 생산된 제품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위염이나 소화불량 같은 소화기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라면 전문의와 충분히 상의 후 섭취 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내용 사진 출처 MBN 엄지의 제왕 >
'건강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마늘 속 SAC 효능과 부작용 뇌의 피로 해결 뇌 건강 유지 (34) | 2023.05.07 |
---|---|
식물성 단백질 효능과 부작용 질병 폭탄 몰고 오는 근감소 예방 근육생성 단백질 (26) | 2023.05.05 |
혈당유산균 효능 혈당 관리를 위해 장 건강에 주목 장과 당뇨와 연관성 (32) | 2023.04.30 |
아르기닌 효능 혈관을 부드럽게 동맥경화 예방 중년 여성 필수 영양소 (32) | 2023.04.29 |
MBP 효능과 부작용 뼈 튼튼 골다공증을 잡는 단백질 (25)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