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구정이 지나고 (2022.02.04 ~02.20)까지 약 16일 동안
중국 베이징에서 15개 종목 108개의 금메달을 놓고 개최됩니다.
베이징은 근대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을 모두 개최한 첫 번째
도시이며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을 기점으로 엔칭, 장자커우 등 3개의 클러스터에서
경기가 치러질 예정이며 클러스터에서는 개막식과 폐막식 빙상종목이 열립니다.
이번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지난 2020 도쿄 하계 올림픽과 같이 일반인들은
참석할 수 없는 관중 없는 올림픽으로 치러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난 도쿄 올림픽 때 우리 나라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선전하는 모습을 보고
응원하면서 코로나로 힘들어 하는 국민들에게 많은 위로가 되었습니다.
올림픽을 위해 4년을 고생한 모든 선수들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응원해주시길 바라며
이번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는 국가대표 선수들도 그동안 노력하고 쌓아 올린 자신의 기량을
마음껏 펼쳐 후회 없는 경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우리 대표팀 응원하는 차원에서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의 일정과 관련된 정보들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스코트
자이언트 팬더인 빙 둔둔은 중국을 상징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베이징 2022 공식
마스코트로 지정되었습니다. 중국 표준어에서 "빙"은 몇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의미는 얼음이라는 의미이며 순수함과 강인함을 상징하고 있고
둔둔은 활기차다는 뜻으로 어린이를 상징하는 하는 말이기도 합니다.
빙둔 둔 마스코드 디자인은 중국과 전 세계 35개국의 5,800개 이상의 출품작 중 하나로
선정될 만큼 높은 경쟁률을 뚫고 마스코트로 지정되었다고 합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기간 : 2022년 2월 4일 ~ 20일(사전 경기는 2월 2일부터 시작)
국내 주요 중계 방송사 : KBS, MBC, SBS
장소 : 중국 베이징 참가국 : 89개국 경기종목 : 15개 종목 109개 세부종목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목의 경우 109개의 세부종목이 있는데 대표적으로 노르딕 복합, 루지,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스노보드, 스켈레톤, 아이스하키, 피겨 스케이팅
스키점프, 컬링 등이 있습니다.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메달 디자인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의 메달의 이름은 통신으로 한마음으로(Together as one)
가운데에 오륜 마크가 자리 잡고 있으며 다지안은 중국 고대의 원형 옥 펜던트를 모티브로
제작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동계 올림픽에서의 목표는 종합 15위라고 하며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을 비롯하여 봅슬레이, 스노보드, 스켈레톤, 컬링,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까지 약 60명의 선수들이 출전한다고 합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일정
개막식 : 2월 4일(금)
노르딕 복합 : 2월 9일, 15일, 17일 루지 : 2월 5~10일
바이애슬론 : 2월 5일. 7~8일, 11~13일, 15~6일, 18~19일
봅슬레이 : 2월 13~15일, 18~20일 쇼트트랙 : 2월 5,7,9,11,13,16일
스노보드 : 2월 5~12일, 14~15일 스켈레톤 : 2월 10~12일
스키점프 : 2월 5~7일, 11~12일, 14일
스피드 스케이팅 : 2월 5~8일, 10~13일, 15일, 17~19일
알파인 스키 : 2월 6~11일, 13일, 15~17일, 19일
컬링 : 2월 2~20일 아이스하키 : 2월 3~20일
크로스컨트리 스키 : 2월 5~6일, 8일, 10~13일, 16일, 19~20일
프리스타일 스키 : 2월 3일, 5~10일, 13~19일
피겨 스케이팅 : 2월 4일, 6~8일, 10일, 12일, 14~15일, 17~20일
우리나라 동계올림픽의 역사와 매달순위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동계올림픽에서 출전한 첫 대회는 1948년 개최된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올림픽이었습니다. 6.25전쟁으로 출전하지 못한 1952년 오슬로 대회를 제외하고는
모든 대회에 출전을 하였으나 우리나라 현실에 맞지 않는 인프라 부족 등의
악조건 속에서 참가에 의미를 둘 수밖에 없었습니다.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은 국제대회에서 우리나라가 강세를 보였던
쇼트트랙이 정식 종목에 포함되면서 동계올림픽 사상 첫 메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시기이며 우리나라의 최초 동계올림픽 메달은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김윤만 선수의 은메달로 시작됐었습니다.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쇼트트랙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했으며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종합 10위에 오르는 성과를 냈습니다.
점차 우리나라는 동계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면서 동계스포츠의 강국으로 위상을 높였고
동계 올림픽에서의 계속된 성과로 2000년대 초반부터 동계올림픽 개최를 희망하였고
세 번의 도전 끝에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었으며 스포츠 대한민국의 위상은
한층 더 높게 올라가는 게기가 되었습니다.
동계스포츠도 여러가지 상황을 바탕으로 투자와 노력을 한 결과 초기 쇼트트랙에 집중된
메달도 점차 스피드 스케이팅과 피겨 스케이팅, 컬링, 눈 위에서 하는 설상 종목, 스켈레톤과
봅슬레이 같은 썰매 종목 등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우리나라 동계올림픽 역대 메달 개수와 순위
16회 알베르빌 동계올림픽(1992년 프랑스)
금메달 2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최종 순위 10위)
17회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1994년 노르웨이)
금메달 4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최종 순위 6위)
18회 나가노 동계올림픽(1998년 일본)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최종 순위 9위)
19회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2002년 미국)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없음(최종 순위 14위)
20회 토리노 동계올림픽(2006년 이탈리아)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최종 순위 7위)
21회 벤쿠버 동계올림픽(2010년 캐나다)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최종 순위 5위)
22회 소치 동계올림픽(2014년 러시아)
금메달 3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최종 순위 13위)
23회 평창 동계올림픽(2018년 대한민국)
금메달 5개, 은메달 8개, 동메달 4개(최종 순위 7위)
며칠 안 남은 베이징 동계올림픽 종목별 일정과 대한민국의 역대 순위까지 알아봤는데요
피와 땀을 흘려가며 4년 동안 나라를 위해 열심히 노력한 국가대표들에게 힘찬 응원과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국가 대표 선수들도 자신들이 원하는 성과를 꼭 달성하기를 기대합니다.
'유익한 생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딩 세탁법 롱패딩도 간단하게 집에서 패딩 세탁 하는방법 (6) | 2022.02.28 |
---|---|
차례상 및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 지내는 순서와 방법 (4) | 2022.01.28 |
탄수화물 중독 자가진단법 과 좋은 탄수화물이 많은음식 (24) | 2022.01.04 |
자기소개서 예시 안내 자기소개서 잘쓰는 방법 (8) | 2021.12.29 |
겨울철 피부관리 피부 건조증 관리법 (8)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