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에서 나는 난로라고 불릴 만큼 체온을 높여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예로부터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면역력을 돕는 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한의학 속 생강은 소화 불량 및 염증성 질환 등에 처방했고 약 5천 년 전부터 인도와 중국등 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엣 중국에서는 관절염, 천식, 당뇨 등 치료에 생강을 활용을 했다고 하고 인도의 아유르베다 의학서 속 생강을 만병통치약 이란 뜻으로 기록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생강을 간편하게 먹는 방법이 생강즙인데 과육보다 껍질 속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껍질째로 만든 생강즙으로 영양소를 높일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생강즙을 에스프레소 한잔 만큼 마시는 진져샷이 굉장히 유명하다고 해서 에너지 드링크처럼 마신다고 합니다.
<내용 사진 출처 MBC 기분 좋은 날>
레몬생강즙 효능
생강의 쓴맛을 줄이는 비법재료가 레몬인데 생강즙, 레몬즙을 함께 먹는 것이다 체온 향상을 돕고 신진대사가 원활 해지고 염증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레몬은 항산화 성분이 풍부해서 활성 산소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생강즙 섭취 시 염증제거 부터 레몬 첨가 시 항산화 관리까지 도움을 줍니다. 레몬 생강즙을 함께 섭취하면 염증 제에 더 도움 된다고 합니다.
레몬생강즙 단독 섭취시보다 레몬즙, 생강즙= 5:5 혼합 시 항산화 능력이 약 75% 향상에 도움 되었다고 합니다.
배 생강즙 만드는법 (배, 생강, 물)
1. 잘 씻은 배를 껍질째 넣고 삶아준다.
2. 배와 생강을 함께 넣고 푹 끓인다. 3. 재료를 면포에 걸러내 주면 배생강즙 완성
생강즙 효능
면역력 항산화
구리, 마그네슘 등 무기질이 풍부한 생강 속 핵심 성분은 진저롤, 쇼가올 이 두 가지 성분이 면역력을 높여주는 핵심 성분인데 진저롤 성분은 항염, 항암 및 DNA 손상 방지에 도움이 되고
가끔 속이 불편할때 따뜻한 생강차 한잔 마시고 나면 속이 편해진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쇼가올 성분은 항염, 항암을 돕고 복부 불편감을 줄여주고 피부 알레르기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생강즙은 체온을 올려 면역력 높이는데 도움이 되고 호흡기 질환에도 도움 되는데
실제로 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이 있었는데 생강즙 280mg를 섭취시킨 실험에서 40분 뒤에 대조군에 비해서 손바닥 체온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기침을 유발한 기니피그 30마리를 대상으로 생강즙을 투여했더니 5시간 후에 대조군에 비해 기침 횟수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염증 제거에 도움
염증은 초기에 잡지 않으면 만성으로 이어지면서 아주 큰질병으로 이어질 수가 있습니다. 이럴때 생강즙 섭취가 염증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생강은 항염작용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양파와 마늘 보다도 항염 작용 지수가 높습니다. 염증 방치 시 만성질환 당뇨, 비만 등 유발 위험이 있는데 염증은 초기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만성 질환 개선에 도움
비만을 유발한 쥐를 대상으로 생강 속 쇼가올 성분을 공급했더니 혈당, 체중, 콜레스테롤 감소에 도움 되었다고 합니다.
다이어트에 도움
실제로 18세~45세 사이의 비만한 여성 80명을 대상으로 생강분말 2g 섭취하게 했더니 12주가 지난 결과 생강 분말을 섭취한 쪽은 대조군에 비해서 비만 지수가 감소했다고 합니다.
무릎 통증 완화
골관절염 환자 247명을 대상으로 6주간 생강추출물을 섭취하게 했더니 무릎 통증 감소, 골관절염 지수도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생강즙 섭취 시 주의사항
과다 섭취 시 복부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하고 기저질환이 있거나 특정 약물 복용자 임산부, 수유부, 알레르기 체질은 전문의와 상담 후 섭취 권장드립니다.
<내용 사진 출처 MBC 기분 좋은 날>
'건강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부민 효능 부작용 지방간 고혈압 성인병 예방 혈청 단백질 (0) | 2024.12.24 |
---|---|
리포좀 글로타치온 효능과 부작용 흡수율 항산화 피부건강 (4) | 2024.12.22 |
포스파티딜세린 효능 부작용 치매 예방 뇌 건강 인지기능 (2) | 2024.12.19 |
알파CD 효능 부작용 지방 배출 다이어트 혈당 감소 (2) | 2024.12.15 |
식물성 멜라토닌 효능 부작용 뇌 건강 치매 예방 숙면 (3) | 2024.1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