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미있는 생생정보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TOP 10

by 리드아이 2021. 12. 24.
728x90
반응형

산의 높이를 재는 방법에는 시작 기준이 어디냐에 따라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는 해발 법과 지구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해서 재는 방법이 있습니다.산 높이를 측정할 때 그 기준이 기준을 어디로 잡느냐에 따라 1위인 산은 바뀔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준이 평균해수면으로 정해진 이상 에베레스트산이 지구 상에서 가장 높은 산입니다. 가장 높은 산 기준은 "해수면 기준"을 기점으로 한 높이로 세계에서 제일 높은 산 Top 10입니다.

10위 안나푸르나 산 8,091 m, 네팔 히말라야 산맥 중부

안나푸르나산은 네팔의 히말라야 중부에 있는 산으로, 서쪽으로부터 제1봉(8,091m), 제3봉(7,555m), 제4(7,525m),  제2봉(7,937m)의 순서로 이어져 있습니다. 안나푸르나는 ‘가득한 음식(full of food)이라는 뜻이며 힌두교에서 풍요의 여신이 사는 곳’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르기 힘든 위험한 산이며 치사율은 40%에 달할 정도입니다.길이가 무려 55km에 달하고,최고봉인 안나푸르나1봉은 높이가 8,091m로 8,000m이상의 고산을 의미하는 14좌의 하나이다  안나푸르나 산은 안타깝게도 지난 1월 네팔 교육봉사활동 기간 중 안나푸르나에서 트레킹을 하다가 눈사태로 실종된 한국인 교사 4명 중 2명의 사망한 산이기도 합니다.

9위 낭가파르바트 산 8,126 m, 파키스탄 북부 펀자브 히말라야

우리나라 산악인 고미영 씨가 마지막으로 정상을 밝았던 낭가파르바트 산은 산은 대(大)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파키스탄 북부 펀자브 히말라야에 있는 산으로, 산스크리트어로 벌거벗은 산 ‘Nanga Parbat’ 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산의 계곡 주민들은 이 산을 가리켜 디아미르(Diamir)라고 부르는데 산 중의 제왕이라는 의미입니다.

출처 포토뉴스 월간산 파키스탄 트레킹

정상까지 등반하기 가장 힘든 산 중의 하나로, 매우 높은 치사율로 인하여 발견 후 수천 년 동안 올라갈 수 없어
킬러 마운틴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는 이전보다 치사율이 낮아졌지만, 여전히 등반하기 가장 어려운 
산 중의 하나입니다. 낭가파르바트는 8천 미터가 넘는 봉우리 중 가장 위험한 곳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독일의 "헤르만 불"이 1953년 낭가 파르 맛에 초등에 성공한 사람입니다.

8위 마나슬루 산 8156m, 네팔

마나슬루는 네팔 히말라야 산맥 중앙부에 있는 산은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산으로 산스크리트어로 ‘마음 정신
영혼’을 뜻하는 마나사(manasa)와 토지를 의미하는 룽(Lung)의 합성어로 영혼의 나라라는 뜻도 된다.
에베레스트산이 영국 등반가 사이에서 인기가 있듯이, 1956년 일본 1956년 5월 9일 일본의 토시오와
네팔인 칼젠 노르부가 초등에 성공을 했습니다.

일본인이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한 이후로 일본 등반가 사이에서 인기가 있습니다. 세계에서 8번째로 높은 산일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자연의 조화와 산맥의 숨 막히는 전경을 경험할 수 있는 산입니다.

7위  다울라기리 산 8,167m, 네팔 히말라야 산맥 칼리간다크 계곡 서쪽

다울라기리 산은 네팔 중북부, 히말라야산맥 칼리간다크 계곡 서쪽에 있는 산으로, 다발라 기리(Dhavalagiri)는 산스크리트어로 하얀 산(White Mountain)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울라기리 산군은 해발 7천 미터가 넘는 주요 봉우리들이 즐비하게 늘어져 있는 산입니다. 다울라기리 산은 제1봉(8,167m), 제2봉(7,751m),  제3봉(7,703m), 제4봉(7,639m), 제5봉(7,585m)의 다섯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에베레스트를 정밀 측량하기 전인 19세기 중엽까지 그 주봉(主峰)인 제1봉은 19세기 중엽까지 세계 최고의 산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얼음으로 덮인 절벽이 수직으로 약 4000m 높이로 떨어져있어 매우 등반하기 힘든 산 중의 하나입니다.

반응형

6위  초오유 산 8,201m, 네팔과 티베트 국경

초오유 산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큰 봉우리로 에베레스트산에서 북서쪽으로 약 28km 떨어진 곳에 있는 산입니다. 
티베트의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해 있으며, 티베트어로 터키석(石) 여신(Turquoise Goddess)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1954년 오스트리아 원정대 헤르베르트 티히, 제프 외힐롸와 셰르파 파상 다와 라마가 초등에 성공을 했습니다.

블로그 나를 찾아가는여행

고도가 높은 모든 상승과 마찬가지로 등반은 힘들고 높은 수준의 체력이 필요하지만 처음으로 8,000m의 얇은 공기를 경험할 수 있는 피크로서 이상적입니다. 많은 탐험 원들이 이곳에서 얻은 경험을 에베레스트의 '디딤돌'로 사용하고 목표를 8000m로 정하기도 합니다.

5위  마칼루 산 8,463m, 네팔 / 티베트

블로그 길을 찾는 즐거움 거칠부

마칼루 산은 에베레스트로부터 남동쪽으로 19km에 인접해 있으며, 최고봉이 4면의 피라미드 모양으로 되어 있어 아름다운 산으로 유명합니다. 높은 폭포와 깊은 협곡으로 유명하며 그중 마칼루 바룬(Makalu-Barun) 계곡이 가장 아름답습니다. 산의 대부분이 검은빛의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검은 귀신이라고 소개되는 경우도 소개되는 경우도 있는 산입니다. 14개의 8,000m급 봉우리들 가운데서는 빙설의 혼합 지역, 가파른 경사면, 노출과 눈사태의 위협으로 인하여 등반하기 어려운 축에 속한다고 합니다.

4위 로체 산 8,516m, 네팔 / 티베트

기아자동차 로체 차명으로도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로체 산은 세계에서 4번째로 높은 산으로, 네팔과 중국의 경계에 있는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해있으며, 산 이름은 남쪽’이란 뜻의 로(lho)와 봉우리란 뜻의 체(tse)가 합쳐져 에베레스트의남쪽 봉우리를 뜻한다고 하네요. K2 만큼 등반 난이도가 높은 곳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1956년 스위스의 프리츠 루칭 거와 에른스트 라이스가 초등에 성공했습니다.

3위  칸첸중가 산 8,586m, 인도 / 네팔

칸첸중가는 히말라야 산맥의 일부분을 이루는 그레이트 히말라야 산맥의 일부입니다.네팔과 인도의 국경에 위치해 있습니다. (8,586m)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 산으로, 5개의 산봉우리가있는데 그중 3개가 8,000m가 넘는 대산 괴입니다. 칸첸중가라는 이름은 금, 은, 보석, 곡식, 경전을 뜻한다고 합니다. 눈의 다섯 보물(Five Treasures of Snow)을 의미합니다. Kanchenjunga 대산 괴는 거대한 십자가의 형태이며, 그 팔은 북쪽, 남쪽, 동쪽 및 서쪽으로 뻗어 있습니다.

2위 K2 (고드윈 오스턴 산) 8,611m, 중국 / 파키스탄

중국 위구르 자치구와 파키스탄 길기트 발티스탄의 경계에 있는 카라코람 산맥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K2는 에베레스트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이지만, 등반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는 산으로가장 숙련된 등반가들이 오르는 높은 산입니다. 하지만, 정상에 이른 4명 중 1명이 사망하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치사율을 가지고 있어  야만적인 산(Savage Mountain)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02년 오스카 에켄스타인과 얼레 이스터 크롤리가 최초로 등반을 시도하여 5차례 도전하였으나 모두 실패하였고, 그 후로 52년이나 지난 1954년 7월 31일에야 아르디토 데시오가 이끄는 이탈리아 등정대 중 리노 라체 델리와 아킬레 콤파 그 노니가 최초로 등정에 성공한 산입니다.

1. 에베레스트 산 (Mount Everest) 높이: 8,848m 인도 북동쪽 히말라야 산맥

에베레스트산은 세계 최고봉으로 모험을 좋아하는 등반가들에게 인기가 많은 산입니다. 일 년 내내 눈이 덮여 있으며 
평균 풍속은 시속 200마일, 평균 기온은 -62도에 달합니다. 기상 조건에 따라 등반 시기는 계절풍을 피하여 5월 중순∼6월 초 또는 9월 말∼10월 중순을 택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산악인 엄홍길은 22년 동안 38번의 도전을 통해 히말라야 8천 미터 14좌를 포함해 16좌를 완등 한 세계 최초의 산악인이 되었습니다.

1950년대 인도에서 측정한 8,848.1m가 받아들여지기도 했는데요. 1998년에는 미국 탐사대가 에베레스트 산 꼭대기에
GPS 장비를 설치했고 이 GPS에 따른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는 2008년 기준으로 8,850m입니다. 2005년 10월 9일중국 정부는 에베레스트 산의 높이가 8,844.43 미터이며 이것이 가장 정확한 측정값이라고 밝혔습니다.현재 에베레스트산은 일 년에 5~8cm씩 높아지고 있어서 에베레스트산의 높이를 측정하는 것이 정상에 오르는 것보다 더 힘들다는 말도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